정부에서 대중교통비 부담을 대폭 완화하기 위해 20~53% 절감을 할 수 있는 K-패스 사업을 5월부터 실행한다고 합니다. 서민과 청년층 등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고 정기적으로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여 교통혼잡을 줄이겠다는 계획인데,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보다 편리한 교통카드인 K-패스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K-패스 할인 혜택
정부에서 시내버스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이용자에게 교통비 일정한 비율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를 출시하려고 준비 중이다. 현재 알뜰교통카드는 도보, 자전거 등 이동거리에 따라 비례하며 출, 도착 기록을 해야 마일리지가 적용되지만, 5월 출시되는 K-패스는 이동거리와 관계없이 교통비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되며 출, 도착의 기록이 불필요하여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불편함을 개선하였다.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로 일반인은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 적용으로 예를 들어 매월 대중교통비 10만 원을 지출하는 사람이라면, 일반인은 2만 원, 청년은 3만 원, 저소득층은 5.3만 원을 절감하는 혜택으로 연 24~63만 원까지 아낄 수 있다. 또한 카드사의 대중교통비 추가 할인혜택까지 고려하면 교통비 절감효과가 매우 크다.
할인 적용 범위 및 신청방법
일반 시내버스나 지하철 외에도 개통예정인 GTX-A, 광역버스 등 고비용의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할인혜택을 적용하여 장거리 출, 퇴근에 따른 교통비용을 대폭 완화할 계획이다. 현재 참여하는 지역은 176개 지자체에서 189개 지자체로 확대할 계획으로, 지역인구가 10만 이하 지자체를 제외한다면 사실상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이다. ex) 서울지역 가입자가 타 지역에서 대중교통 이용 시에도 동일한 혜택이 적용된다.
K-패스 신청방법
1. 알뜰 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는 "K-패스로 회원 전환 절차"를 거치면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 발급카드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 알뜰교통카드 어플을 통해 이용약관 및 회원 전환절차 진행
2. 신규 이용자는 2024년 5월부터 공식 누리집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또는 11개 카드사에서 교통카드 상품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티머니 이동의 즐거움, DGB유페이
K-패스 요약정리
-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이동거리 기준 적립방식을 없애고, 대중교통비 지출액의 정액을 정립하는 방식으로 개선
- 月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마일리지 적립 (최대 60회)
- 시내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민자철도 등 교통카드 기반 대중교통수단 적용 및 전국 단위 호환
- 사용금액 다음 달에 이용자에 직접 환급 ( 현금, 마일리지, 카드공제 등)
- 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 할인혜택으로 이동거리 무관 적용
- 국가와 지자체가 1:1로 분담 (서울시는 국고보조 40%)
- 2024년 5월 시행실시 예정으로 4월까지는 알뜰교통카드 사업 추진
- 출, 도착 기록에 따른 단점을 개선하고 기존카드 대비 적립혜택을 확대하여 사용자 편익 증대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출,퇴근 및 등하교를 하고있는 국민에게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는 좋은 정책으로 2024년 5월 신청기간을 잊지말고 K-패스 교통카드를 발급받아 교통비 할인혜택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2024.01.16 - [분류 전체보기] - 노인 시니어 일자리여기 홈페이지 구직 신청방법 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