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9재 49제 금기 주의 사항 절하는 방법 고두례 접족례

by 부자되는마케팅 2024. 2. 22.
반응형

고인을 보낸 뒤 49일간 고인의 환생을 바라며 7일마다 재를 올리는데, 그 기간 동안 가족들이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몇 가지 있는습니다. 또한 절하는 방식과 절하는 방식에 따른 의미가 있는데 과연 어떤 불교의미가 있는지와 49재를 지내고 있을때 주의사항 몇 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49재 주의사항 및 절하는 방법
49재 주의사항 및 절하는 방법

 

49재? 49제?

반응형

49제와 49재를 많이들 혼동하고 있는데 49제는 祭(제사 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을 많이 하시나  49재 齋(재계할 재)를 사용하여 환생을 의미하는 불교식 장례의식이다. 49일간 돌아가신 날을 기준으로 매 7일마다 재를 올려야 하지만, 최근애는 마지막 49일째 되는 재만 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불교에서 의미하는 49재는 죽은 사람의 영혼을 칠칠일 동안 저승에서 머물며 명부시왕중 일곱 대왕에게 7일마다 심판을 받고 49일째 되는 날 최종 심판을 받아 환생을 한다 믿기에 7일마다 7번의 재를 올리는 것이다. 

49재 금기 및 주의사항

49재는 초재에서 칠재까지 총 7번의 재를 올리는 것이 원칙이나 유족의 형편에 따라 1,3,5,7재 또는 초하루, 보름재 혹은 마지막 7재만 지내기도 한다. 49일째 되는 날에 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평일의 경우 가족들의 참석이 어려워 날짜를 바꾸는 경우도 있다. 49재의 의미를 기억하며 많은 가족들이 참석하는 것이 더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이 든다. \

49재 기간 동안 지켜야 할 금기사항 

  • 음주가무를 자제할 것
  • 살아있는 생명을 해치는 행위를 하지 말 것
  • 거짓말로 구업을 쌓지 말 것
  • 주지 않는 것을 취하거나 삿된 음행을 하지 말 것

그밖에 경조사 참석도 금기사항이라 말하기도 하지만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불가피하게 참석을 해야 하는 일이 발생하기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사찰에서 지내는 49재만 참석하는 것이 아쉽다면 집에 연단을 마련하고 아침마다 상식을 올릴 수도 있으며 매일 올리지 않고도 고인을 생각하는 마음을 담아 기도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49재 때 영가의 옷을 준비하는데 면 소재 또는 잘 타는 옷을 준비하며 가격은 중요하지 않으며 영가를 상징하는 의미로 어떠한 옷이어도 상관이 없다. 경우에 따라 옷을 태우지 않아도 무방하며 옷을 태운다는 의미는 남은 사람들이 고인과 이승의 인연을 마무리 짓는다는 의식으로 생각하면 된다. 

 

절하는 방법 

영가에게 올리는 3배는 고두례나 접족례 절법 중 어느 것을 해도 상관이 없다. 고두례는 마지막절을 한 후 일어나기 전 어깨를 들고 두 손을 얼굴 앞에서 모아 합장 후 다시 이마와 손바닥을 바닥에 대고 일어서는 절하기 방식으로 불교종교에서 부처님께 한번 더 머리를 조아린다는 의미로 해석이 되고 접족례는 손바닥이 위로 오도록 하며 두 손을 귀높이까지 올리는 절법으로 부처님의 발을 두 손으로 올려 받는다는 의미로 해석이 된다. 

  • 고두례: 마지막 절을 하고 나서 일어나기 전 어깨를 들고 두 손을 얼굴 앞에서 모아 합장 후 다시 이마와 두 손바닥을 대고 일어나는 절법
  • 접족례: 손바닥이 하늘을 향하도록 한 후 두 손을 귀높이까지 올리는 절법

 

2024.02.21 - [분류 전체보기] - 49재 49재 계산방법 기준일 시간 사찰 제사 평균 비용

2024.02.19 - [분류 전체보기] - 증여세 세금 기준 한도 아들 딸 자식 손자 손녀 사위 며느리

 

 

 

반응형